"내 버블 앱, 왜 이렇게 느리지?"
"워크로드 비용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?"
버블(Bubble.io)로 개발을 하다 보면 속도가 느려지거나 워크로드 비용이 증가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.
그 이유는 바로 **"로직을 어디에서 실행하느냐"**에 달려 있습니다!
버블에서는 클라이언트 사이드(Client-Side) vs 서버 사이드(Server-Side) 로직 두 가지 방식으로 앱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.
이 둘의 차이를 알고, 적절히 활용하면 앱 성능을 개선하고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
구분클라이언트 사이드 (Client-Side)서버 사이드 (Server-Side)
처리 위치 |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 | 버블 서버에서 실행 |
속도 | 빠름 ⚡ (서버 왕복 요청 없음) | 느릴 수 있음 🐢 (서버와 데이터 교환 필요) |
워크로드 부담 | 없음 ✅ | 발생 ❌ (서버 리소스 사용) |
보안 | 낮음 🔓 (JS 코드 노출 가능) | 높음 🔒 (클라이언트에서 접근 불가) |
사용 사례 | 간단한 계산, UI 변경, 필터링 | 데이터 저장, 복잡한 연산, API 호출 |
👉 데이터베이스 저장이 필요 없는 간단한 UI 변경
👉 숫자 계산, 필터링, 검색 기능
👉 사용자가 빠르게 반응해야 하는 기능 (ex. 버튼 클릭 후 UI 업데이트)
👉 서버 요청 없이 즉시 처리할 수 있는 작업
💡 예제:
👉 데이터 저장이 필요한 경우
👉 API 호출이 필요한 경우
👉 보안이 중요한 작업 (ex. 사용자 인증, 결제 처리)
👉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경우 (ex. 데이터 집계, AI 분석)
💡 예제:
✔ 보안 문제: 코드가 노출될 수 있어 중요한 연산, 민감한 데이터는 서버에서 처리해야 안전
✔ 복잡한 로직 실행 불가: 클라이언트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기능도 있음
✔ 네트워크 환경 영향: 사용자의 인터넷 속도에 따라 실행 속도가 달라질 수 있음
✔ 빠르고 간단한 로직 →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처리
✔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 → 서버 사이드에서 처리
✔ 반복적인 워크로드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 로직은 클라이언트에서 실행
🔎 실전 예제! 내 앱이 느려졌다면?
✔ DB 필터링을 서버에서 하고 있진 않은지 확인
✔ 반복적인 API 호출을 클라이언트에서 캐싱하도록 변경
✔ 불필요한 서버 요청을 줄이고, 실행 속도를 개선
버블에서 워크로드 비용을 줄이고 성능을 높이는 최고의 방법은 **"적절한 로직 배치"**입니다.
개발할 때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드 로직을 꼭 고려해서 최적의 성능을 뽑아내세요!
🛠️ IFINITY는?
Bubble.io 공식 인증 노코드 개발 에이전시
📩 문의하기: support@if-inity.io
🌐 공식 웹사이트: if-inity.io
💬 카카오톡 상담: 오픈채팅 바로가기
버블 개발, 알고 하면 쉽다!
이제 로직 배치를 최적화해서 빠르고 효율적인 앱을 만들어보세요! 🚀
Bubble.io, No-Code를 넘어 완전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! (1) | 2025.02.22 |
---|---|
버블 워크로드 최적화 3탄: 빠르고 효율적인 앱 만들기 (0) | 2025.02.20 |
[플러그인] Instant Scroll Detector Pro 소개 (0) | 2025.02.18 |
버블(Bubble.io) 워크로드 관리, 앱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! (0) | 2025.02.18 |
Instant Scroll Detector (0) | 2025.02.17 |